폐백의 모든것
조회수 | 743 | ||
---|---|---|---|
페백이란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치르고 시댁으로 온 신부가 처음뵙는 시부모와 시댁 식구들에게 인사를 올리는 혼례의 한 부분입니다. 옛날에는 신부의 우귀, 즉 요즘말로 신행을 하여 신랑집에서 첫날밤을 자고 그 이튿날 아침 일찍 시부모님께 처음으로 큰절을 올렸습니다. 신랑의 직계 존속에게는 사배를 행하고, 나머지 친적들에게는 한번씩 절하는데 이를 현구례라 합니다. 신부는 이 에를 올리기 위해 시부모님께 드릴 음식을 가져가고 이를 폐백이라 했습니다. 이 절차가 끝나면 우귀 행사를 마치게 됨으로 신부는 신랑의 가족으로서 자연스럽게 행동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폐백에는 대추와 꿩을 썻는데 대추는 시아버지께, 꿩은 시어머니께 드리는 것입니다. 시아버지만 계시면 대추만, 시어머니만 계시면 꿩만 씁니다. 시부모가 안계시면 폐백은 드리지 않으며 근래에는 예식장의 폐백실을 많이 이용합니다. 폐백음식은 각 지방마다 조금씩 다른 점이 있기는 하나 밤, 대추 고임, 닭이나 육포 구절판을 하는것이 기본입니다. *신부 집에서 보낸 음식으로 상 차리기 * 보통 신랑 집 대청 마루에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깔아 신부 집에서 보낸 음식으로 상을 차립니다. 요즘은 주로 예식장의 폐백실에서 간단하게 치루지요. 폐백은 신부가 어떤 가문에서 자라 결혼하는가를 시댁에 선보이는 첫 인사이므로 많은 신경이 쓰입니다. <절하는법> 절을 할때는 수모가 옆에서 거들어 주므로 수모의 부축에 따라 움직이면 됩니다. 두손을 항상 수모의 부축에 따라 수평으로 한 채 있어야 합니다. 수모가 먼저 앉은 다음 신부가 앉으면서 큰절을 올리고 앉을때는 무릎을 꿇고 앉고 절을 할때는 너무 깊이 숙이지 않습니다. 일어설때는 신부가 먼저 일어나고 수모가 신부를 부축하여 일어섭니다. 절은 4배 올리고 다시 반절을 합니다. 남자는 손의 위치가 여자와는 정반대입니다. 즉 왼손이 오른손 위로 올라가야 합니다. 맞잡은 두손을 배꼭 위에 놓고 왼쪽 무릎부터 꿇고 완전히 꿇은 상태에서 손을 바닥에 짚고 머리는 등과 수평이 되게 합니다. 일어날때는 왼쪽 무릎, 오른쪽 무릎 순으로 일어나고 손은 그대로 내립니다. 일어나서 몸을 약간 숙인뒤 꿇어 앉습니다. <폐백 순서> 1.수모가 신부를 대신해서 먼저 시아버지에게 페백을 올립니다. 2.페백을 받고 난 시아버지가 며느리에게 덕담을 해주고 근봉을 풉니다. 3.신부는 수모의 손을 빌어 시어머니에게 육포가 들어 있는 폐백을 드립니다. 4.수모가 신부를 대신하여 시어머니에게 폐백을 올립니다. 5.며느리의 허물을 덮어 준다는 뜻으로 페백을 어루만집니다. 6.수모의 도움을 받아 육포를 들어 올립니다. 7.시아버지는 자손의 건강을 기원하는 대추를, 시어머니는 쇠고기에 양념을 해 발린 육포를 페백으로 받습니다. 8.시부모에게 술을 올리기 전에 수모는 안주를 시어머니에게 올립니다. 9.신부가 수모의 도움을 받아 시부모에게 술잔을 올리기 전에 절을 올립니다. 10.신부는 수모의 부축을 받아 4번 절을 올립니다. 11.절을 마치고 난 신부는 수모의 손을 빌어 시부모에게 술을 따라 올립니다. 12.수모가 시아버지에게 술잔을 권합니다. 13.시어머니에게도 수모가 신부를 대신하여 술을 드립니다. 14.시부모는 며느리가 준 술잔을 받아 마십니다. 15.술을 한 모금 마시고 난 시부모에게 안주를 권합니다. 16.시아버지가 덕담을 해 주면서 아들을 낳아 가계를 잘 계승하라는 의미로며느리의 치마폭에 대추를 던져줍니다. 요즘에는 예식장 폐백실에서 하는 경우가 많아 절차가 많이 간단해졌습니다.절은 시조부모님이 계셔도 시부모님께 먼저 다음 집안의 촌수와 항렬에 따라 차례로 인사를 드립니다. 같은 항렬인 시누이, 시숙, 시동생과는 서로 맞절을 하는 것이 올바른 예법입니다. 요즘은 신부에게 절 값을 주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는 데, 이것은 두둑한 신혼여행 경비의 밑천이 되기도 하지요. 다산의 의미로 대추를, 봉양의 의미로 포를, 시아버지께 올리는 대추고임은 튼튼한 자손을 생산해 대를 잇고 집안을 번창시키겠다는 약속입니다. 시어머니께 올린 육포는 정성껏 잘 봉양하겠다는 뜻이지요. 은행을 꽂는데 사용한 솔가지에도 나름의 의미가 담겨져 있어요. 늘 푸는 소나무처럼 언제나 꿋꿋하게 살아가겠다는 각오의 표현이지요. 건구절판, 전구절판, 한과구절판도 함께그리고 시아버지의 술안주로 건구절판, 전구절판, 한과구절판을 함께 준비합니다. 폐백의 기본 음식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경상도 지역에서는 며느리가 시어머니께 '엿 고임'을 올립니다. '엿'을 전하는 의미로 '입을 봉하시고 시집살이를 호되게 시키지 마세요' 라는 며느리의 애교가 담겨 있지요. 어찌 보면 은근한 야유처럼 들리기도 하네요. |
이전글 | 폐백 드리는 방법 |
---|---|
다음글 | 함은 누가 갖고 가느냐에 따라 3가지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