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uare

노블 대구본사 053-746-0114

함에 대한 올바른 이해

게시판 상세보기
조회수 688
우리민족의 혼례에서 함을 드리는 풍습은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다.

이 풍습은 남녀가 혼인할 것을 물증으로 약속하던 풍습인데 자신이 아끼던 물건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줌으로써 사랑과 소중함의 표현이었다. 신라 진평왕시대의 가실이와 설씨는 가장 아끼던 거울을 나누어 가졌으며, 고려 태조 왕건의 할아버지 작제건은 서해 용녀와의 혼인에서 버드나무 지팡이와 돼지를 갖고 왔다는 얘기도 있다. 이 함은 다른 말로는 대장함, 예장함, 혼함이라고도 부르며 문헌에서는 봉채, 납채, 납폐, 봉징, 납징, 예단, 예장, 예물, 큰짐이라고도 한다.

이렇게 고대시대에는 소중한 물건을 전하던 함드리기가 조선시대 주자가례가 전래되어 여가에서 혼인을 허락해준데 대한 감사의 표시로써 납폐가 중시되고 부유한 계층에서는 비싼 물품을 경쟁적으로 많이 넣어 보내는 것을 자랑하기 시작하였다.



16세기에 이르러 귀족계급에서는 청색, 홍색의 비단과 패물을 넣었으며 평민계급에서는 무명을 많이 사용하였다. 오늘날에도 함을 보내는데, 요즘의 풍속에는 일부 잘못 전해져서 세속의 예가 우리의 전통 사대부의 禮인것처럼 오해받기도 한다. 함을 보낼 때 함께 보내는 것으로 납폐서(혼서지)가 있다. 이 납폐서는 허혼에 대한 신랑측 혼주(종자 또는 아버지)의 감사 편지로 함 속이 아닌 혼서함에 별도로 넣어서 보냈으며 이 혼 서로 인해 납폐의 의미가 더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함이 갈 적에는 현대처럼 신랑친구들만 가는 것이 아니라 남자쪽 집안에서 使者(혼주의 자제)또는 賓과 擔幣者(함진아비), 從者(머슴)등이 가며 사자와 여자 집안의 혼주간에 예의바르게 납폐서와 폐백(함)을 받으니 우리의 예의 문화가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이에반해 후대의 俗例에 따르면 함진아비가 얼굴에 검은 칠을 하고 갔으며, 여가에서는 함을 메고 온 종자(머슴)에게 當日例給으로써 약간의 돈을 수고비로 주었는데 이것이 잘못전해져 오늘날 함값으로까지 잘못 발전된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납폐에서 함을 드릴 때는 신랑아버지의 명을 받은 신랑의 형제나 친척어른이 동행하고 친구들이 함진아비와 종자의 역을 우정으로써 대행하면 합당하다고 하겠다.

함속에 색실을 넣는 것은 부귀 장수하라는 뜻으로 넣었고 목화나 특산물, 팥과 같은 낱알과 목화씨를 넣은 것은 아들을 많이 낳아 부귀의 복을 누리라는 상징적인 풍습이었다. 成俔의 "傭薺叢設"에 보면 옛날에는 "혼례때 납폐에 다만 무명을 사용하였는데 지금은 모두 비단을 쓴다. 많으면 십여필이고 적어도 몇 필씩은 쓴다.

함을 앞세우고 가는 것을 나라에서 법으로 금지시키니 지금은 함을 미리 보내는 것이다"라고 하여 함의 사치스러움이 사회적 폐단이었음을 말해주며 주자가례에서는 納幣에 대해 " 幣用色繪, 貧富隨宜, 少不過兩, 多不踰十. 今人更用釵釗羊酒果實之屬, 亦可." (폐백은 색비단을 사용하고 빈부에 따라 마땅하게 하되 적어도 한 필을 넘지 않으며 많아도 열필을 넘지 않도록 한다. 지금 사람들은 비녀, 팔지, 양, 술, 과일등을 사용하는데 역시 괜찮다)고 하였다. 이렇게 함속에는 가치있는 물건을 넣었으며 그 외 상징적 의미의 물건들도 함께 넣었다.

신부집에서는 봉치떡을 준비하여 그 위에 함을 받았다. 예쁜 딸을 낳아 고이 길러서 남자집에 새 식구로 보내주심에 감사하여 예를 갖춰 여자 집에 인사드리고 납폐서와 폐백을 전달하여야 하며, 여자집 혼주는 남자집의 인사에 감사하며 맛있는 음식과 약간의 수고비를 주는 것이 우리 전통문화에 합당한 함 드리기라 하겠다.



오늘날 일부에서 납폐서를 생략하거나 함 속의 사치한 물건을 자랑하며 함 값 시비를 벌이는 작태는 결국 그 집안의 신분이 스스로 낮음을 표현하는 것이 되니 대단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요즘 또한 함 속에 넣는 폐백은 옛날에는 그 물건들이 화폐로서 교환가치가 있었기에 오늘날 현금이나 상품권으로 대치하는 것도 예의정신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하겠다.

이전 다음 글보기
이전글 [결혼의 계절] 축의금, 얼마 넣을까?
다음글 결혼 예단 에티켓